“기초연금 부부가 같이 받으면 깎인다고?”
기초연금 부부 수급 시 감액된다는 건 많이들 알고 있지만,
올해부터 바뀐 기준과 감액 방식은 따로 확인해보셔야 해요.
2025년 변경된 감액률, 실제 지급액, 소득역전 방지 감액까지
중요한 변화만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2025년 부부 기초연금 감액 조건, 어떻게 바뀌었나요?
2025년에도 부부가 함께 기초연금을 받을 경우 각자 20% 감액되는 방식은 유지됩니다.
다만 기준연금액이 인상되면서, 감액 후 실제 수령액도 함께 조정되었어요.
📌 부부 감액 기본 구조
- 기준연금액: 342,510원(2025년)
- 감액률: 20% → 1인당 274,000원 수령
- 부부 합산 최대 지급액: 548,000원
- 최저 보장: 각자 최소 27,400원 이상 지급
“기초연금은 부부가 공동 생활비를 부담하는 점을 반영해 부부 수급 시 각자 산정 연금액의 20%를 감액 지급합니다.”
—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공식 안내
실제 감액 적용 예시
말로만 들으면 헷갈리기 쉬우니, 표로 비교해볼게요.
구분 | 산정 연금액 | 감액률 | 1인 수령액 | 부부 합산 |
---|---|---|---|---|
단독가구 | 342,510원 | 없음 | 342,510원 | - |
부부가구 | 342,510원 | 20% | 274,000원 | 548,000원 |
즉, 부부가 각각 수급 자격을 갖췄다면 각자 274,000원씩, 총 548,000원까지 받을 수 있다는 뜻이에요.
소득역전 방지 감액, 이건 또 뭐죠?
2025년부터는 소득역전 방지 감액이라는 개념도 주목해야 해요.
이는 수급자보다 비수급자의 소득이 적어지는 걸 막기 위한 추가 감액 제도입니다.
- 조건: 소득인정액 + 기초연금 수령액이 선정기준액을 초과하는 경우
- 적용 방식: 초과 금액만큼 추가 감액
- 2025년 선정기준액 - 단독가구: 228만 원 - 부부가구: 364만 8,000원
예시로 보면 더 쉬워요
- 소득인정액 310만 원(부부가구): 감액 없음 → 각자 274,000원
- 소득인정액 320만 원: 일부 감액 → 약 1인당 225,000원 (예시값)
복잡해 보이지만, 복지로 모의계산기를 이용하면 본인 수급 가능 금액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어요.
2025년 기타 중요한 변화 정리
- 선정기준액 인상: 더 많은 부부가구가 수급 대상 포함
- 근로소득 공제 확대: 근로소득 150만 원 → 111만 원 공제
- 국민연금 연계 감액: 수령액 515,260원 초과 시 일부 감액
2025년 기초연금 부부 감액 관련 자주 묻는 질문
대신 부부 합산 최대 548,000원(2025년 기준)까지는 받을 수 있어요.
초과할 경우 소득역전 방지 감액이 적용돼 일부만 받을 수도 있어요.
한 명만 받을 경우 감액 없이 전액(342,510원) 수령할 수 있어요.
부부가 함께 받는 기초연금, 감액되더라도 결코 손해는 아닙니다!
모의계산기로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
소득 인정 기준도 완화되었으니 대상이 될 가능성이 더 높아졌어요.
관련 내용으로 2025 기초연금 신청 자격이 되는지 확인하는 3가지 기준도 살펴보세요.

2025 기초연금 신청 자격이 되는지 확인하는 3가지 기준|생활정보 가이드
만 65세가 됐다고 누구나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 2025년부터 바뀐 소득 기준과 신청 절차까지 확인해서 내가 받을 수 있는지 미리 체크해보는 게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가장 핵심적인 3가지 자격 기준을 정리해드릴게요.